≪이소정의 유노왓≫
그거 아세요?(you know what)
'유퀴즈', 시청률 잡았지만 정체성 상실
과거 형식 그리워하는 시청자 많아
그거 아세요?(you know what)
'유퀴즈', 시청률 잡았지만 정체성 상실
과거 형식 그리워하는 시청자 많아

![시청률 얻고 기획 의도 잃었다…뻔한 연예인 토크쇼로 전락한 '유퀴즈' [TEN스타필드]](https://img.tenasia.co.kr/photo/202503/BF.39813127.1.jpg)
김수현, 이병헌, 주지훈 등 화려한 연예인 게스트를 앞세워 매회 높은 화제성과 시청률을 기록하는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이하 '유퀴즈')이 본래의 기획 의도를 잃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18년 8월 첫 방송한 '유퀴즈'는 길거리에서 시민들을 만나 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듣는 포맷으로 기획됐다. 유재석과 조세호가 거리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며, 각자의 삶을 조명하는 형식이 많은 시청자의 공감을 얻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거리 인터뷰 형식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이후 미리 섭외한 출연진과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당시 프로그램을 꾸준히 시청하던 이들은 코로나 사태가 끝나면 다시 원래의 길거리 인터뷰 형식으로 복귀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변화된 포맷은 여태껏 지속되고 있다.

제작진이 형식을 우선순위에서 배제했다고 하지만, 방송 애호가 사이에서는 "'우리네 이웃의 삶'을 조명하기에는 기존의 길거리 인터뷰 형식이 더욱 좋았다"며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다. 지금 형식은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을 버는 스타들이 출연하는 게 과연 '우리네 이웃의 삶'을 대변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방송 관계자는 "'유퀴즈'가 점점 초호화 게스트를 섭외하며 화제성과 시청률 확보에 집중하는 만큼 기존의 길거리 인터뷰 형식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연예인 토크쇼가 점점 사라지고 있고, '유퀴즈'가 유일한 대안처럼 여겨지는 상황이라 더 그렇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내 스튜디오에서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는 점도 거리 인터뷰 형식으로의 복귀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 시청자는 "한때 다양한 시민들의 인생사를 들려주며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던 '유퀴즈'가 초심을 잃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높은 시청률과 화제성을 확보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그 대가로 개성을 잃었다"고 했다.
이소정 텐아시아 기자 forusojung@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