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연예 산업에 사이렌을 울리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고, 연예계를 둘러싼 위협과 변화를 알리겠습니다.
그룹 뉴진스를 시작으로 가수 은가은, 그룹 VCHA의 미국 국적 멤버 KG까지 열흘 남짓한 시간 동안 전속계약 해지 선언만 세 차례 이뤄졌다. 업계에선 아티스트의 입장과는 별개로 전속계약 '해지 통보' 사례가 늘어날수록 K팝뿐만 아니라 국내 엔터 업계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전속계약에 대한 인식이 가벼워질수록 계약의 근간이 되는 아티스트-소속사 간 신뢰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아티스트가 소속사에 불만이 있다면 언제든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해도 된다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했다. 각자의 억울함이 담긴 주장과는 별개로,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미 국내서는 '마의 7년'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재계약 불발 리스크가 높다. 솔로 활동 방향성 차이, 멤버 간 이해관계 차이 등으로 인해 그룹 활동을 7년 이상 지속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실제로 그룹 블랙핑크, 마마무 등 고년차 그룹 중 상당수는 그룹 활동 외 솔로 활동을 각기 다른 소속사에서 진행하고 있다. 솔로 활동이 바빠지면서 이들 그룹 활동은 자연히 줄어들었고 팬들의 아쉬움은 커졌다.

물론, 아티스트와 소속사 모두를 만족시키는 전속계약 사례를 찾아보기란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이해관계가 그만큼 다 다르기 때문이다. 만일 아티스트가 소속사에 대한 신뢰를 잃어 문제를 제기하고 싶다면 전속계약 해지를 선언하기 전에 적절한 법적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로 투자 위축 뿐 아니라 전속계약이 더 복잡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대형 기획사에서 자본을 집중적으로 투입, 육성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결국 엔터사들은 투자에 보수적으로 변할 수 밖에 없다. 중소형 엔터사들은 더 리스크가 커졌다. 전속계약서가 더 두꺼워질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결국 피해를 입는 건 K팝 아티스트를 꿈꾸는 후배들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