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숏폼으로 주목받던 코미디언도, 공개코미디를 해왔던 베테랑 개그맨들도 약한 모습을 보였다. 담배를 물고 19금 멘트 등 공영방송이나 종편에서도 볼 수 없었던 높은 수위의 개그도 통하지 않았다. 규제 때문에 공개 코미디 포맷의 프로그램이 없어졌다는 핑계도 먹히지 않는 순간이었다.
"흑백 요리사를 이길 것"이라고 자신했지만,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지난 15일 공개된 '코미디 리벤지'는 한국 톱10에 들었지만 점점 순위가 하락하고 있다. 28일 기준 '코미디 리벤지'의 순위는 8위로 10위 밖으로 밀려나기 직전이다. 글로벌 톱10에서는 이름을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시작부터 유쾌하지 못했다. '코미디 리벤지' 제작발표회 당일 출연자 이진호의 불법 도박 이슈가 터진 것. 이진호는 본지의 보도로 불법 도박으로 수억대 빚을 진 사실이 밝혀졌다. 넷플릭스 측에선 이진호를 편집하지 않고 품고 가기로 결정했다. 전체 팀전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구성상 이진호만 편집하기에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었기 때문. 막상 공개되고 보니 수고스럽게 따로 편집할 필요도 없을 만큼 이진호의 활약은 미미했다.

'로스팅 개그'로 점수를 얻는 1라운드는 폭로 잔치였다. 상대방의 약점이나 실수를 유머러스하게 지적하는 로스팅 개그를 이해하고 펼치는 코미디언은 스탠딩 코미디를 주로 하는 송하빈 뿐 그 외에는 그저 상대방을 비난하고 폭로하는 수준으로 개그를 펼쳤다. 1라운드에서 신기루는 담배까지 꺼내 입에 물고 흡연하는 시늉을 했지만 '굳이' 싶다. 맥락 없는 퍼포먼스였다. 억지스러움만 남았다.
라운드가 이어졌지만 '빵'하고 터지는 구간이 없다. 특히 즉흥 코미디를 펼치는 '임프랍 배틀'에서는 박나래, 김용명, 문세윤, 이진호, 이상준, 황제성 등이 노련한 애드리브로 웃음을 자아내기보단 당황해서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보였다. 프로답지 못했다. 한국 개그맨들 수준이 퇴행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만 했다.

이미 높은 자극에 노출된 시대에 '코메디 리벤지'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만큼 매운맛 드립이 난무했지만, 'SNL 코리아', 이렇다 할 규제가 전혀 없는 유튜브 콘텐츠의 19금 드립에 익숙해진 대중에게 큰 웃음을 안겨주는 차별 포인트가 되긴 역부족이었다.
공개코미디의 부활 신호탄은 불발됐다. '개그콘서트'는 예전 명성을 찾지 못했고 tvN '코미디 빅리그' 도 폐지된 상황 속 '코미디 리벤지'를 향한 기대의 시선은 실망으로 바뀌었다. 이젠 핑계댈 것도 없다. 개그맨들을 위한 큰 판이 깔렸고, 발을 묶던 수위 규제도 없었다. 오직 개그맨들의 역량 문제다. 행사로 돈을 버는데 급급해 개그맨 본업에 소홀한 것은 아닌지 냉정히 돌아볼 때다. 개그맨의 시대는 여전히 흔들리고 있다.
김서윤 텐아시아 기자 seogug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