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첫 공개된 '흑백요리사'는 다시금 요리 예능의 신드롬을 불러왔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흑백요리사'는 지난 16일부터 22일까지 18개국 TOP 10에 이름을 올렸으며 글로벌 TOP 10 TV 비영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국내 인기는 말할 것도 없다. 9월 3주차 TV-OTT 통합 조사 결과 드라마와 비드라마 통틀어 1위를 차지했다. 프로그램 자체뿐만 아니라 백종원, 안성재 셰프, 더불어 프로그램에 출연한 셰프들을 향한 관심도 매우 높다. 셰프들의 식당 예약이 더욱 치열해졌다.
100인의 요리사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당신은 ○수저입니다. 지금부터 당신의 계급이 정해집니다"라는 멘트로 시작한다. 강렬한 도파민을 선사하는 도입부다. 80인의 흑수저 계급 요리사와 백수저 셰프 20인이 대결을 펼친다는 구조부터 시청자들의 흥미를 자극한다. 80인의 흑수저 셰프들이 먼저 등장하고 그들보다 높은 단상에서 20의 백수저 셰프가 모습을 드러낸다. 확연한 계급 차이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밑에서 백수저를 올려다보던 흑수저가 대결에서 승리했을 때 주는 카타르시스도 무시할 수 없다. 계급 콘텐츠의 가장 큰 재미다.

넷플릭스의 대박 콘텐츠 '오징어게임' 도 마찬가지다. 결국 돈 있는 사람의 놀이에 힘없고 돈 없는 사회의 약자가 게임 말이 되어 벌어지는 일들을 담은 드라마다.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을 보여준 것.
계급을 나누고, 경쟁하고, 승자를 가리는 콘텐츠들이 쏟아지고 있다. 웨이브에서도 질세라 예능 '여왕벌 게임'을 내놨다. 여성 리더 1인과 남성 팀원 3인이 팀을 이뤄 상금을 놓고 경쟁하며 그룹 내 계급 갈등, 신분 상승의 욕구, 정치 싸움 등을 펼친다.
한 시대의 유행 콘텐츠는 그 시대의 모습을 반영한다. 자본에 따라, 직업에 따라, 성별에 따라 갈등하고 계급이 나뉘는 현 세태의 모습을 K콘텐츠는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아카데미 극본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 역시 계급론을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각을 그대로 담아냈다. 너무 계급론적인 시각을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는 것도 사실이지만, 대중들은 여전히 이런 콘텐츠 소비에 환호하고 있다. 자극적인 계급론 콘텐츠를 보며 씁쓸한 뒷맛이 남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김서윤 텐아시아 기자 seogug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